이런저런 장기요양기관 운영에 대한 고민, 지홀릭컨설팅이 함께 함니다.
안녕하세요? 지홀릭컨설팅 입니다.
방문요양센터 운영, 어디부터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하는 이런 상담을 많이 받습니다.
사실 방문요양센터를 설립해서 처음 운영하신다고 한다면 모르시는게 당연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로 방문요양센터와 주간보호센터에 근무했다고 하더라도 사회복지사 업무 또는 가산복지사의 업무만을 수행하였기에 방문요양센터 창업자이자 센터장, 대표의 업무를 알 수가 없습니다. 업무가 사회복지사나 요양보호사와는 달리 포괄적이기 때문입니다.
요양보호사분을 관리하고 수급자와 보호자를 관리하고 방문요양센터 운영을 총괄하고 직원들의 급여와 행정업무를 맡고 시군구 보고와 공단 청구 업무 등 이런저런 재가센터와 관련된 업무는 많습니다. 욕심이 있으신 센터장님이라면 업무는 더더욱 많겠죠.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습니다. 처음 부터 잘되고 싶지만 처음부터 잘되기는 어려운 사업이며 오늘보단 어제가 어제보단 그제가 더 잘되는사업 입니다. 그것이 노인복지사업이며 어느정도 시일이 경과되면 비로소 안정적인 궤도에 안착되는 사업인데요. 요즘 방문요양센터 창업도 많아지고 있고 경쟁도 치열해 지고 있습니다. 너도 나도 노인복지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운영적인 부분이 무척 중요해졌습니다.
민간주도의 방문요양센터 영역이지만 지난 15년간 노력을 많이 했기에 올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이 90% 이상의 고객만족도를 나타낸 사업입니다. 그만큼 민간이 주도했지만 공공성과 더불어 서비스 만족도도 높았고 그 만큼 기존 민간 센터들이 운영을 잘해온 것이라 봅니다. 새로 창업을 하면 그만큼 시행착오도 많고 실수나 착오, 오류도 범하게 됩니다.
그러나 지난 2019년 12월12일 부터 지정심의제가 시행되었기 때문에 이런 착오나 오류는 최소화 하고 운영을 잘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런 부분에 있어서 방치하다보면 짧은 시간에 바로 잡기는 어렵겠지만 시작하시는 분, 시작하려는 분들은 운영에 대한 부분은 꼭 집고 가셔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그리 어려운 부분이 아니지만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알 수 있도록 세밀하게 알려드리고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런저런 운영에 대한 고민, 지홀릭컨설팅이 도와드립니다.
'창업 및 운영 컨설팅 > 장기요양기관 운영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문요양센터 운영을 잘 할 수 있는지 고민입니다 (2) | 2025.03.05 |
---|---|
방문요양 4등급 월 최대 이용 일수는? (0) | 2025.02.03 |
재가복지센터에서 12월에 해야 할 업무 (2) | 2024.12.24 |
재가복지센터의 사회복지사 근로계약서 작성 (0) | 2024.12.18 |
2025년 방문요양 최저시급 안내 (0) | 2024.12.14 |
댓글